2일차.
금일은 경제 용어 공부 2번째 날으로 96가지 용어를 전부 학습할때 까지 화이팅~!
4. 고통지수
학습 용어 정의 상 고통지수는 소비자 물가 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한 값을 말합니다.
1975년 미국의 경제학자 오쿤(A. Okun)이 기상용어인 불쾌지수에서 착안, 국민의 삶에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이 국민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사용한 지표입니다.
이 수치는 높아 질수록 실업자는 늘고 물가는 높아져 한 나라의 국민이 느끼는 삶의 고통이 늘어남을 의미하게 되죠.
그런데 고통지수를 절대적인 것으로 생각하면 나라 간에 비교가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나라별로 소비자 물가 상승률과 실업률을 계산하는 기준이 다르고 조사대상에 따라서 느끼는 고통의 정도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최근 고통지수는 한국 뿐만 아니라 세계 대부분의 나라가 매우 높은 상태인 것을 볼수 있습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글로벌 경제위기로 일자리가 줄어든 데다 각국이 경기부양을 위해 돈을 풀면서 그 후유증으로 인플레이션이 폭등 하면서 발생된 현상인 것이죠.
한국의 고통지수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2월부터 4월까지가 제일 높았다고 합니다. 15.6이였고 당시 물가상승률은 9%대,실업률은 6%대였다고 합니다.
경제 고통지수는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을 계량화해 보여주는 장점이 있지만 일부 지표를 단순 합산한 것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받고 있습니다.
앤드루 오스왈드 영국 워릭대 교수의 연구에서 실업률이 1%포인트 오르는 것은 물가상승률이 1.7%포인트 높아지는 것과 비슷한 고통을 주는 것을 감안하여 실업률이 물가상승률보다 더 고통스럽다는 사실을 감안해 실업률에 가중치를 줘야 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인플레이션과 실업율은 시소 같은 부분인 것 같습니다. 고통지수를 낮추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궁금해 지는 하루입니다.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평가 된 알짜 아파트 한 채 저자 - 제이크 차- (0) | 2023.07.11 |
---|---|
부자들은 이런 주식을 삽니다. - 저자 김현준- (0) | 2023.07.09 |
엄마, 주식 사주세요 저자 -존 리- (0) | 2023.06.29 |
경제.금융 용어 공부 96가지 DAY.1 (0) | 2023.06.26 |
경제, 자기계발, 경영 서적“이 책은 돈 버는 법에 관한 이야기”저자 -고명환- (0) | 2023.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