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만기수익률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1.만기수익률의 비교와 이해
만기수익률(YTM, Yield To Maturity)은 채권이나 의무증권을 구입하고 기간만료까지 보유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전체 이자수익의 연간평균화된 수익률을 가리킵니다. 이는 증권의 이자지급, 액면가, 구입가격 등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투자자에게 투자 전 매력도나 투자대안의 비교를 위한 주요 지표로 활용됩니다.
2. 만기수익률과 연관된 다른 지표들
1) 장단기 금리차(Gap)
투자기간에 따른 금리차이로, 경제의 미래 전망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2) 현재수익률(Current Yield)
채권의 이자지급금액을 구입가격으로 나눈 값으로, 단기간 동안의 채권 수익률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3) 만기수익률 곡선(Yield Curve)
만기별 수익률을 그래프 상에 표현한 것으로, 경제상황과 통화정책 등의 영향을 합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3. 만기수익률을 투자결정에 활용하는 방법
채권 투자 시 적절한 기대수익률을 설정하려면, 만기수익률을 통한 비교 및 평가가 필요합니다. 장단기 금리차를 통해 경제상황 판단하고, 적정한 만기 구간을 선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채권의 현재수익률과 만기수익률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자금 보호와 수익성의 균형을 맞추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4. 결론
만기수익률을 통한 합리적 투자 선택이 필요합니다. 만기수익률은 채권이나 의무증권에 대한 투자 전 후의 수익률 판단 지표로 활용되며, 장단기 금리차, 현재수익률 등과 함께 이해하면 도움이 됩니다. 투자자들은 이들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안정적인 수익 창출과 비교 대안 평가를 통해 합리적인 투자 선정을 도와줍니다. 이렇게 만기수익률을 활용하여 시장 상황에 따라 적절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의 속성> 경제용어 96 매몰비용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3.08.15 |
---|---|
<돈의속성> 경제용어 96-28 마이크로 크레디트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3.08.14 |
<돈의 속성> 경제용어 96선 레버리지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3.08.13 |
<돈의속성> 96 -25 디플레이션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3.08.11 |
<돈의속성> 경제금융용어 96 디커플링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8.10 |